1. 토양특성조회 OpenAPI
국립농업과학원 토양정보시스템(흙토람)에 수록된 농경지 토양특성정보를 조회합니다. 토양특성 30종중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는 27종과 상업적 이용도 허용하는 3종을 별도의 API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입력) 인증키, 지번코드(PNU코드)
(출력1) 27종_공공목적 사용만 허용(토색, 구조, 심토주토색, 모암(모재), 배수등급, 유효토심, 침식등급, 표토토성, 표토자갈함량, 분포지형, 퇴적양식, 토양목, 토양아목, 토양대군, 주토지이용, 토지이용추천, 토양유형, 논적성등급, 논저해요인, 밭적성등급, 밭저해요인, 과수상전적성등급, 과수상전저해요인, 초지적성등급, 초지저해요인, 임지적성등급, 임지저해요인)
(출력2) 3종_상업적 이용 가능(심토토성, 심토자갈함량, 경사도)는 별도 API로 제공
출처: 국립농업과학원
2. 토양화학성 검정자료 조회 OpenAPI
국립농업과학원 토양정보시스템(흙토람)에 수록된 전국 농경지(지번)의 토양검정 결과(토양화학성 분석)를 조회합니다.
(입력) 인증키, 지번코드(PNU코드)
(출력) 시료채취년도, 토양검정일, 경지구분, 지번주소, 산도, 유효인산, 유효규산, 유기물, 마그네슘, 칼륨, 칼슘, 전기전도도
출처: 국립농업과학원
3. 비료사용처방 OpenAPI
토양검정 결과(토양화학성 분석)를 기준으로 비료사용 처방서를 발급합니다.
(입력) 작물, 토양검정결과값(pH,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유효규산), (선택사항) 전기전도도, 질산태질소 등
(출력) 비료사용 처방서(밑거름 및 웃거름으로 질소, 인산, 칼리, 퇴비 사용량)
출처: 국립농업과학원
4. 토양현장진단 API
현장에서 휴대용 토양분석기로 토양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토양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맞는 처방을 제공합니다. * CAMP
(입력) 휴대용 토양분석기 Rapid-d((주)테크넬) 분석결과(pH, EC, Eh, 질산이온, 황산이온, 염소이온)
(출력) 흙토람 현장진단 결과(양분 과부족, 화학적 상태), 진단결과에 따른 처방법(pH교정, 비료공급, 물공급)
출처: 국립농업과학원 · 서울대학교
5. 밭작물 물사용 처방 API
각 지역별로 주요 노지 밭작물에 대한 생육단계별 관수 필요량을 제시해 줍니다.
제공작물: 콩, 배추, 옥수수, 감자, 고구마, 땅콩, 양파, 사과, 무, 상추
(입력) 작물분류, 정식시기, 기상정보산출방식, 관수방법, 밭 면적
(출력) 생육단계별 물 필요량과 일일 물 필요량
출처: 국립농업과학원
6. 가뭄예측 API
누적강수량, 토양표면유거수량, 누적증발산량(FAO-56 penman-monteith)을 이용하여 계산한 가뭄지수 * CAMP
(입력) 예측시점 이전 67일의 일별강수량, 예측시점 이전 7일간 일별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수증기압, 일사량, 풍속
(출력) 일별 가뭄지수
출처: 서울대학교
7. 농업용수 저수지수위 OpenAPI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농업용저수지의 코드를 조회하고, 해당 코드로 저수지의 수위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저수지이름, 위치주소(군, 구), 저수지코드, 조회시작날짜(yyyymmdd), 조회끝날짜(yyyymmdd)
(출력) 측정날짜, 수위(m), 저수율(%)
출처: 농어촌공사
8. 침수흔적도 OpenAPI
태풍, 호우, 해일 등 자연재해로 인한 침수피해 지역(농경지)에 대한 조사결과를 표시한 지도입니다.
(입력) 주제도명
(출력) 침수위, 침수심, 침수시간
출처: 생활안전정보(행안부)
9. 산사태위험도 OpenAPI
집중강우 등이 발생하면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농경지)을 등급(5등급)으로 표현한 지도를 제공합니다.
(입력) 주제도명
(출력) 산사태위험도(5등급)
출처: 생활안전정보(행안부)